2026년 아동수당 무엇이 달라지나 - 지급 연령 확대, 지역별 차등 지급
만 8세까지, 지역에 따라 최대 월 13만 원!
아동수당은 아이 키우는 가정의 부담을 덜고,
모든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도록 돕기 위해 만든 제도다.
그런데 2026년부터는 이 제도가 조금 더 넓고, 조금 더 두둑하게 바뀐다.
모든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도록 돕기 위해 만든 제도다.
그런데 2026년부터는 이 제도가 조금 더 넓고, 조금 더 두둑하게 바뀐다.
방군이 정리해봤다. 놓치면 손해다.
📘 목차
1. 아동수당이란
2. 2026년 달라지는 점
3. 지원대상
4. 지원금액
5. 신청방법
6. 필요서류
7. 지급방식
2. 2026년 달라지는 점
3. 지원대상
4. 지원금액
5. 신청방법
6. 필요서류
7. 지급방식
1. 아동수당이란
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매월 현금을 지급해주는 제도다.
소득과 상관없이 모든 아동이 받을 수 있다.
그냥 간단히 말해,
“아이 키우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월급 같은 복지금”이다.
2. 2026년 달라지는 점
핵심은 두 가지다.
하나! 지급 연령 확대 – 만 7세 미만 → 만 8세 미만으로 상향
둘 ! 지역별 차등 지급 – 지역에 따라 더 많이 받는다!
3. 지원대상
| 구분 | 2025년 기준 | 2026년 변경 | 비고 |
|---|---|---|---|
| 지급 연령 | 만 7세 미만 (83개월) | 만 8세 미만 (95개월) | 1세 상향 (출생월 포함 96개월까지 지급) |
| 소득 기준 | 무관 | 무관 | 그대로 유지 |
👉 이제 초등학교 2학년까지도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다.
아이가 8세 되는 달까지는 끊기지 않고 지원된다는 얘기다.
4. 지원금액
2025년에는 전국 동일 10만 원이었지만,
2026년부터는 지역별로 차등 지급된다.
| 지역 구분 | 2026년 월 지원금 |
| 수도권 | 10만원 (현행 유지) |
| 비수도권 | 10만 5천원 (5천원 추가) |
| 인구감소지역 | 최대 13만원 (3만원 추가) |
👉 지방에 거주하는 가정일수록 혜택이 커진다.
지자체 예산에 따라 추가 수당을 주는 곳도 생길 수 있다.
5. 신청방법
아동수당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는다. 반드시 신청해야 한다!
출생신고 후 60일 이내에 신청하면 출생월부터 소급 지급된다.
| 구분 | 방법 | 비고 |
| 온라인 신청 | 복지로 홈페이지 [www.bokjiro.go.kr]/복지로 앱 | 부모만 신청 가능 |
| 방문 신청 | 아동 주민등록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| 보호자 또는 대리인 가능 |
💡 출생신고할 때 “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”로 함께 신청하면 더 편하다.
6. 필요서류
-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(주민센터 비치)
- 신청인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- 보호자 또는 아동 명의 통장 사본
- 대리 신청 시: 위임장, 대리인 신분증, 보호자 신분증 사본
7. 지급 방식
현금 지급(계좌이체) 원칙
일부 지자체는 지역화폐(모바일 상품권) 형태로 지급
매월 25일 지급, 토요일·공휴일이면 전일로 앞당겨 지급
💭 방군의 생각 한 줄
아이 키우는 일은 보통일이 아니다.
2026년부터 더 커지는 아동수당,
자동으로 들어오는 거 아니니까 출생신고할 때 복지로 앱에서 한번에 신청해서
손해는 남기지 말자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