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대카드 없이 일반카드로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충전, 사용, K패스 연동까지 - 이제 방군도 사용한다!
드디어 K패스까지 연결하여 아이폰 교통카드를 사용한다.
[목차]
1. 아이폰 교통카드, 이제는 가능하다
2. 현대카드(애플페이) 없어도 사용할 수 있나?
3. 티머니 교통카드 설치 & 등록 방법
4. 교통카드 충전 방법 (계좌 / 일반카드)
5. K패스 등록 및 연동
6. 방군의 생각 한 줄
1. 아이폰 교통카드, 이제는 가능하다
2025년 7월, 애플페이를 기반으로 아이폰에서도 교통카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.
하지만 당시엔 K패스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
방군은 굳이 쓸 이유가 없었다.
그러다 10월 말, K패스 환급 혜택이 아이폰 교통카드에도 적용되면서
드디어 실사용을 시작하게 됐다.
그 과정에서 알게 된 점들을 정리해 본다.
2. 현대카드 없어도 되나?
현대카드 없이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다.
-
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계좌 연결 충전 가능
-
다른 신용·체크카드로 충전 가능
-
단, 자동충전 기능은 현대카드 애플페이만 지원
즉, 수동충전 방식으로는 현대카드가 없어도 전혀 문제없다.
3. 티머니 교통카드 설치 & 등록 방법
👉 설치 순서
① 앱스토어에서 모바일티머니 앱 다운로드
② 로그인 후 ‘교통카드 추가’ 선택
③ “Apple 지갑에 추가” 버튼 클릭
이 과정을 마치면 Wallet(지갑) 앱 안에
“Tmoney 교통카드”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설정을 해두기만 하면 완료.
이제부터 교통단말기에 아이폰을 대기만 하면 결제 완료.
앱을 켜둘 필요도, 잠금 해제할 필요도 없다.
💡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각각 설치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카드로 발급, 설치 된다. K-패스는 한 개의 카드만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잘 선택해서 사용하도록 하자.
4. 교통카드 충전 방법 (계좌 / 일반카드)
충전은 모바일티머니앱을 이용해 간단하게 할 수 있다.
충전 금액은 1,000원 이상, 1,000원 단위로 가능.
-
계좌 충전: 신한·국민·우리·농협 등 주요 은행 지원
-
카드 충전: 현대카드 외에도 일반 카드 사용 가능
계좌나 일반카드로 교통카드 충전 시 수수료는 2.1%이지만,
매월 3,000점의 마일리지가 자동 지급되어
실제 체감 수수료는 대부분 “0원”이다.
3,000점의 마일리지가 초과되는 금액(대략 14만원) 이상부터 부과된다고 보면 된다.
💡 팁: 전월에 환불 내역이 있으면 마일리지 제공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!
5. K패스 등록 및 연동
이제 아이폰 교통카드를 K패스와 연결하면
교통비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이미 K패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.
👇 등록 절차
① 모바일티머니 앱 실행
② 사이드 메뉴에서 ‘K-패스’ 선택
③ K-패스 카드관리
④ K-패스 앱 메뉴 'MY - 내카드 - 카드변경 및 이력" (반드시 K-패스에도 등록/변경을 해야한다)
⑤ 지갑에 등록된 Tmoney 교통카드 선택 → 등록 완료
이제부터 해당 교통카드로 결제할 때마다
K패스 혜택(환급, 적립 등)이 자동으로 적용된다.
⚠️ K-패스카드 변경은 월 1회로 제한, 탈퇴 후 재가입도 한달 이내에는 안된다. 주의해서 등록하도록 하자.
여기까지 하면 K-패스 혜택을 포함한 아이폰 교통카드 설치가 다 마무리 되었다.
애플페이가 아니면 조금 번거로운 부분도 있지만 교통카드 사용에 불편을 겪는 아이폰 유저들에게는 이런 방법이나마 대안이 될 수 있어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.
이젠 카드 준비하느라 햇갈려 하지 말고 아이폰으로 찍고 대중교통 이용해 보자.
6. 방군의 생각 한 줄



